top of page

2011_​ZU DO YANG

2011.11.3 - 2011.11.23

Information

ZU DO YANG SOLO EXHIBITION
2011. 11. 3 - 23
Opening Reception : 11. 3, 5pm @ GALLERY YEH
 

 

 


Oculus - Subverting the Familiar

 

 

By Park Yong-taik, Art Critic & Kyonggi University Professor

 

Since 1839, when the French Academy of Sciences announced the invention of the camera, photography has evolved tremendously into an independent art genre, beyond its technology, occupying a more critical position in contemporary art than any other medium. Irrespective of genre and major, many Korean artists have developed their art worlds using this medium, producing work based on the contemplation on images, and engaging problems of representation and meaning and the condition of photography. Some present images of fictitious situations twisting or shattering the fact photographs can be evidence, records, or clear representations of objectivity. Photographs also question problems of the gaze, representation, and artist as subject, reflecting on established photographic viewpoints while aggressively embracing photography as a pictorial tool. Zu’s work is one of such examples.

 

The photographic surface is two-dimensional, and photographic paper is a flat surface and skin. A photograph is an image on a flat surface made with light. Photography and painting represent the three-dimensional on a two-dimensional surface. The two can present illusory images on skin, or reproduce three-dimensional objects and worlds on a plane. In this sense, whatever the imagery, paintings and photographs engage our perception and reality. An aspect of the reality perceived like this creates illusory experience, recalling an external environment in three dimensions.

 

This is photography’s mysterious power. Recent photographic work by many artists question boundaries between reality and illusion, and the medium itself, beyond its function of recording and visualizing concepts. It also questions photographic perception derived from a process of encapsulating a concrete world and setting it on a plane. Zu’s work also lies in this context. For Zu, photography works as the material of painting. He creates images with photographs replacing paint and brush. His photo collage is made by a painter’s eye and hand.

 

According to the visual comparisons of Karl Pfenninger, German physiologist, we perceive two-dimensional images with one eye alone – either right or left, and spatial vision is created by the differences in each creatively combined by the brain. Creating hybrids, our eyes engender creative combinations and illusions, attributes used in Zu’s photography. Refusing ‘one-eye viewing’, Zu attempts a multi-dimensional approach. He uses photographs of diverse scenes to gain ‘an effect like the real’, trying to show the ideal world we perceive. He diversifies a present visual point, and time, breaking away from perspective.

 

Zu’s photographs present the world in a two-dimensional circle. He gets many photographic images through a 360-degree revolution of the camera, and combines and composes them into one photo. His photographs look like a distortion of the real. He unfolds a strange world distant from the reality he began with. However, his photographs make us realize that his multi-faceted imagery is a realistic appearance of reality.

 

He photographs familiar urban scenes which have little significance, but the position the subject views them from is confusing. In his work the subject does not see the world: to the contrary, the object or the world sees the subject, taking photographs. His photographs implicitly incapacitate the artist’s subjective position of controlling a work and dominating the world.

 

Zu’s photographs have representation constructing a scene, centering on an imaginary vanishing point, deviating from Western visual representation. Perspective is the principle of representing three-dimensional real space on a two-dimensional surface, according to an object’s distance and size, based on mathematical principles, a critical issue in modern art. Perspective is the principle of representation, generating illusion, so one feels and sees the real while viewing represented objects.

 

Photography is also seen as an objective representation of the external world. A photo is thus considered the same as the real object, the result of its certification, and a clear objective record. However, a photograph is a demonstration of an aspect of the world before our eyes, reflecting an observer’s viewpoint, stance, and concern without filtering. In this sense strictly accurate, objective photographs and purely representational photographs are actually impossible. Photography is not composed of a pure system of representation that is sole and completed in itself. Any representation is in fact impossible. Photography is not confined to the function of representation alone. It is also one of many mediums addressing images. Zu’s photographs do not reveal the objective world clearly and vividly, but intentionally raise a question about representation’s transparency.

 

As is widely known, determining the meaning of images in postmodern art is not done through a referential object in the external world but through the relationship between images, that is, meaning as the text. The images thus do not inform, represent or describe the world. They create the world anew. The real strength of images is in this creative work. The real cannot be captured by these images, and a direct representation is impossible.

 

Zu combines and puts together the views from a 360-degree revolution, making space into a plane. In his photographs we can see a three-dimensional object in the same time. These photographs shorten or integrate time to look around objects. These present the world that is surely visible but we could not see, and scenes concealed or oppressed. With them we re-recognize the world we see and doubt photographic representation. The world is not standstill in a fixed time. Dominated by time, it is continuously fluctuating, circling, and proceeding forward swiftly. Putting together diverse times and scenes, Zu uncovers established photographic perspectives that are distorted, and denotes his photographs that look like fictions and fantasies yet show the real aspects of the world. His elaborate photographs deconstruct photographic viewpoints and remove their fixed ideas, maintaining visual pleasure based on solid formative elements and principles.

 

Zu’s photographs are taken with his whole body. This means he does not see the world with one eye. Seeing is an act of the whole body. Seeing is done with the body. ‘Seeing’ (voir) is knowing (savoir). In other words, seeing something is knowing in the entire body. This is a sort of accepting. Seeing is not a passive act but actively embracing something. It shows my body’s perceptual response to an object. The object I see is neither fixed nor completed. It remains variable and ambiguous as a discontinuous being floating under the control of time. The truth of the true nature of a specific object is also under the control of time. If so, it can be said that the true nature or original look of an object is absent. As a result, a belief that we can represent and depict objects accurately is denied.

 

Photography represents the external world, but in fact captures some specific time through which the world continuously changes. While looking at photographs, we recall and identify with the world, but actually these are nothing but fragments of a specific moment in time. Likewise, all that exists changes under the control of time. Time is therefore the vertigo shattering the systematic world of representation, and an enormous swirling force destroying the idol of the original.

 

As time is not a substance we know through intuition, there is no ‘moment’ and ‘eternity’. If time has substance, this time generates some difference. Zu’s photographs showing the world where scenes are captured in diverse times are combined or divided, and continued in circle to reveal such difference. We become skeptical about things we see due to this difference and division. This skepticism shatters all familiarity. An act of art is not different from doubting the universal visual convention of the times, seeing strangely, disturbing the senses, and shattering familiarity. 

ZU DO YANG 

주도양 초대전


Oculus - Subverting the Familiar

November 3-23, 2011
Opening Reception _ November 3, 5pm 

GALLERY YEH  예화랑


 

예화랑에서는 결실의 계절을 맞이하여 2011년 11월 원이라는 공간 속에서 사진에 대한 고정관념을 해체하여 재구성하는 작업으로 한국화단에서 사진 작업으로 왕성하게 활동하시는 주도양 선생님의 개인전을 마련하였습니다. 사진을 통해 대상을 바라보는 인간의 시야와 인식에 관한 문제를 다루고 있는 작가는 2011년 개인전을 위해 새로운 작품들을 선 보입니다. 


눈 앞의 현실을 순간적으로 포착해서 그 표면을 건조하게 제시하는 기계적 산물로서의 사진 이상의 의미를 갖는 이들의 사진은 현상 너머의 본질적인 것, 관념적이고 형이상학적인 주제에 대한 깊은 몰두를 의도하거나, 세상을 새롭게 인지할 수 있는 신선한 시각을 제안하고 있습니다. 


그동안 주도양 작가가 8여 회의 개인전을 통해 선보였던 작업은 일점 원근법을 통해서 사물을 보는 방식에 의문을 던지면서 디지털 기술을 접목하여 세상을 ‘어떻게 볼 것인가’하는 문제에 대한 새로운 접근 방법을 보여주려 하였다면, 이번 신작들을 통하여서는 현실을 하나의 공간 속에서 다면원근법을 이용하여 통일적으로 재구성함은 물론이고 “예술적으로 보는 방식이란 무엇인가?”, “어떻게 보는 것이 예술적인가?”와 같은 예술적 표현의 질문들에 그만의 해답을 작가의 작품에서 찾으실 수 있으실 것입니다. 


사진은 세상의 실제모습이며 사진의 가치는 그것들을 있는 그대로 말하는 가치입니다. 사람들은 사진을 통해서 세계를 이해하고 세계는 사진을 통해서 삶을 드러내고 있습니다. 미국 평론가 Susan Sontag에 따르면 사진이야말로 인간이 만들고 인간이 꾸며가는 현실로부터 건져 올려진 참의 형상이며 짧은 역사 속에서도 시대를 바꿀 정도로 정의 및 진실의 형상이었습니다. 

2011년 예화랑의 주도양 개인전의 작품들을 통해서 카메라에 찍힌 그 너머를 볼 줄 아는 시선, 외양의 안쪽을 볼 줄 아는 시선, 시간으로부터, 시간 속에서, 시간에 기대어 참에 다가서는 삶의 시선을 느껴보시기 바랍니다. 우리가 늘 속해있기에 일상적이고 관습적으로만 바라보던 세상에서 벗어나 삶 속 새로움을 찾을 수 있는 사색과 전환의 시간을 갖길 기대해봅니다.



주도양 -익숙함의 흔들기

 

박영택(경기대교수,미술평론)

1839년 프랑스 과학아카데미에서 세계 최초로 카메라의 발명이 공표된 이후, 사진은 엄청난 발전을 거듭해왔다. 이제 사진이 단순한 기술의 차원을 넘어 독자적인 예술장르로 확고히 자리 잡았으며 현재 사진 매체는 다른 어떤 매체보다도 현대미술의 중심적 자리를 차지하고 있다. 그런 차원에서 현재 한국미술계에서는 장르와 전공을 불문하고 다양한 작가들이 사진을 흥미롭게 다루면서 자신의 작업세계를 전개해나가고 있음을 본다. 나로서는 오히려 사진 쪽 작가들보다 미술 쪽 작가들이 사진매체를 자유롭고 기발하게 다루면서 이미지에 대한 풍부한 사유, 그리고 재현을 둘러싼 논의와 사진이란 매체의 의미, 조건 등에 풍요로운 질문을 던지고 있는 일련의 작업을 만난다. 그중에서도 사진을 통해 허구적인 상황을 연출하면서 기존 사진이 객관적 사실의 증명 혹은 기록이거나 투명한 재현이라는 사실을 교묘하게 뒤틀거나 흔들면서 또 다른 허상을 보여주는 작업내지 기존 사진적 시각의 반성과 사진이란 매체를 회화적 도구로 적극적으로 끌어들이면서 시선과 재현의 문제, 작가라는 주체에 대해 의미 있는 질문을 던지고 있음을 본다. 주도양의 작업 역시 그런 예의 하나다.

 

화면은 2차원적인 평면이다. 사진이 얹혀지는 인화지 역시 납작한 평면, 피부에 불과하다. 평면에 빛으로 그려진 하나의 ‘상’이 사진인 것이다. 그렇다면 2차원에서 3차원을 재현하는 것은 회화의 수법의 문제이자 사진의 문제이기도 하다. 회화와 사진은 모두 피부위에서 환영적인 이미지를 보여준다. 둘 다 평면에서 보여줌과 동시에 눈으로 사물, 세계라는 3차원을 재현하는 것이다. 그러한 의미에서 그것이 어떤 것이든 이미지가, 사진이 현실로부터, 우리 몸의 지각으로부터 완전히 단절될 수는 없다. 아울러 그렇게 지각된 현실의 한 단면이 평면, 피부위에서 기이한 환영적 체험을 야기한다. 그러면서도 실제적인 외부 환경을 입체적으로 환기시킨다. 그것은 사진이 지닌 미묘한, 불가사의한 힘이다. 최근 여러 작가들의 사진작업은 그 같은 실제와 환영의 경계를 문제시하고 있다. 사진이란 매체를 공유하지만 이들에게 사진은 단순한 기록이나 개념의 도상화가 아니라 사진이란 매체 자체를 질문하고 사진이 구체적인 실세계를 담아내면서 그것이 평면위로 안착되어 오는 과정에서 야기하는 지각체험 등을 문제시하고 있다. 주도양의 작업도 그 맥락에서 기능한다. 그에게 사진이란 매체는 회화의 재료로 기능한다. 그는 사진을 가지고 물감과 붓을 대신해 이미지를 만들어나간다. 연출해 보인다. 이 사진 콜라주는 여전히 화가의 눈과 손에 의해 만들어진 작업이다.

 

독일의 생리학자 페닝거(Karl Pfenninger)의 시각적 비유에 의하면 인간의 오른쪽 눈, 왼쪽 눈은 각각 2차원의 영상밖에는 인식하지 못한다고 한다. 그렇지만 이 두 눈에서 받아들인 조금씩 다른 2차원의 영상들이 두뇌에서 종합되면 3차원이라는 질적으로 다른 공간적 비전을 만들어낸다는 것이다. 비슷한 방식을 통해 서로 다른 형태로 수용된 두 데이터가 두뇌에서 새로운 방식으로 결합해서 한 단계 높은 차원의 창조성으로 발현된다는 것이다. 우리 눈 역시 매우 잡종적이고 그로인해 창조적인 새로운 결합을 만들어내는 기관인 셈이다. 주도양의 사진은 우리 눈의 그 같은 속성을 끌어들여 그 환영성을 길어 올린다. 그는 사진의 ‘한 눈 보기’를 거부하고 다차원적인 접근을 시도한다. 실제의 세상을 바라보고 ‘진짜처럼 보이는 효과’를 얻기 위해 여러 장면의 사진을 사용하여 우리가 지각하는 관념적인 세상을 보여주려는 것이다. 따라서 원 샷으로 마무리하는 원근법적 시각을 벗어나 현재의 시점, 시간을 다양화하고 있다. 그것은 결국 우리의 지각을 의심하는 데서 출발한다. 그의 사진은 우리를 둘러싼 세계를 원형으로 제공한다. 그것은 일면이 아닌 다면의 세계이자 우리를 둘러싼 입체의 세계를 평면으로 만든다. 사진기를 360도 회전시켜 여러 장의 사진이미지를 얻은 후 이를 바탕으로 정교하게 조합하고 합성을 해서 한 장면으로 만든 사진이다. 사진의 평면성과 실세계의 재현력이 결합된 불가피한 장면이 만들어진 것이다. 이 구부러지고 원형으로 기이하게 결합된 사진은 실재에 대한 왜곡처럼 보인다. 현실로부터 출발했지만 그로부터 무척 벗어나 보이는 이상한 세계상을 펼쳐 보이는 것 같다. 그러나 현실을 조각조각 해체하고 이를 다시 이어붙이면서 다면원근법으로 통합해낸 그 이미지야말로 실세계의 사실적 모습임을 새삼 깨닫게 해준다. 그가 찍은 대상은 자연과 도시의 비근한 풍경으로 그 자체로는 큰 의미를 지니고 있지 않다. 그 사진을 보노라면 바라보는 주체의 자리가 무척이나 헷갈린다. 뒤집힌 세계이자 거꾸로 선 자리이고 내가 보는 것이 아니라 사물에 의해, 자연에 의해 보여지고 있다는 체험을 제공한다. 주체가 세계를 보는 것이 아니라 그와 반대로 사물이, 세계가 사진 찍는 주체를 바라보는 관점을 제공해주면서 작업을 주재하고 세계를 편재하는 작가의 주체적 위치 자체를 은연중 무력화시키는 것이다.

 

주도양 사진은 가상의 소실점을 중심으로 화면을 구성하는 근대 이후 서구의 시각적 재현을 일탈, 거부하는 재현 구조다. 원근법은 이차원의 평면에 삼차원의 현실 공간을 사물의 거리와 크기에 따라, 수학의 원리에 의거하여 재현하는 원칙으로 근대 미술 생산의 핵심 사안이었다. 원근법은 근대 회화가 보여주는 현실 환영주의, 즉 회화라는 재현을 바라보면서 실제 현실을 바라보고 있다는 환영감을 주려는 의도가 만든 재현 원리이다. 사진 또한 외부 세계를 객관적으로 재현한 것으로 이해한다. 따라서 한 장의 사진을 현실계와 동일한 대상으로 여기거나 그것의 인증의 결과이자 명징한 객관적 기록으로 여긴다. 그러나 사진은 눈앞에 존재하고 있는 세계의 어느 한 측면의 반영이고 그것 역시 그것을 바라보는 관찰자의 시선, 입장, 관심 등을 여과없이 반영한다. 그런 의미에서 엄밀하게 정확하고 객관적인 사진, 순수한 재현적인 사진이란 사실 불가능하다. 사진 역시 그것 자체로 단일하고 완결된, 순수한 재현의 체계로 구성되어 있지 않다. 재현이란 사실상 불가능하다. 사진은 재현의 기능에만 저당 잡혀있지도 않다. 사진 역시 이미지를 다루는 수많은 매체 중 하나다. 주도양의 사진은 명료하고 선명하게 객관적 세계를 드러내는 사진이 아니라 의도적으로 그 재현의 투명성에 이의를 제기하는 작업이다. 주지하다시피 포스트모던 미술에서 이미지들의 의미를 결정하는 것은 외부세계에 있는 지시대상이 아니라, 이미지들 사이의 관계, 즉 텍스트로써 의미이다. 따라서 이미지는 세계를 알려주는 것도 아니고, 재현하거나 기술하는 것도 아니다. 오히려 세계를 새롭게 만들어가고, 이러한 창조 작업 속에서 이미지의 위력이 존재한다. 그에 따라 실재는 이미지에 의해 포착될 수 없고 직접적인 재현은 불가능해졌다.

 

주도양은 공간을 평면으로 만들고 360도로 훑어나간 시선을 종합해서 원형으로 이어 붙였다. 이제 우리는 입체적 대상을 한 순간, 시간 속에서 조망한다. 이 사진은 사물을 둘러보는데 걸리는 시간을 단축하거나 붙여버린 셈이다. 이것은 분명 보이는 세계이지만 미처 보지 못한 세계이자 그동안 사진이 보여주지 못했던 세계, 은폐시키거나 억압했던 장면을 되돌려주는 사진이다. 그로인해 우리는 우리가 보는 세계를 새삼 재인식하고 사진의 재현술을 의심한다. 세계는 정지되거나 한 시점에서만 보여지거나 고정된 시간 속에 응고된 모습으로 있는 것이 아니고 그렇게 재현될 수도 없는 것이다. 그것은 시간의 지배를 받으며 끊임없이 요동치고 원형으로 선회하며 걷잡을 수 없이 나아간다. 주도양은 그 세계를 여러 시간, 여러 장면을 이어 붙여나가면서 기존 사진적 시각이 왜곡된 것임을 드러내버리면서 허구나 판타지로 보이는 자신의 사진이 결국 사실적인 사진, 실제적인 세계상을 보여주고 있음을 드러낸다. 그러니까 이 정교한 사진은 사진적 시각을 해체하고 그 고정관념을 불식시키는 한편 시각적 유희를 유지하면서 탄탄한 조형적 요소와 원리 또한 한 몸으로 껴안고 있다.

 

주도양의 사진은 온 몸으로 찍기다. 그는 외눈으로 세계를 바라보지 않는다. 본다는 것은 무엇보다도 전신적인 행위이다. 몸으로 보는 것이다. 본다‘voir’는 것은 안다‘savoir’는 것이기도 하다. 다시 말해 무언가를 본다는 것은 전신적으로 그것을 알게 된다는 것이다. 그것은 일종의 받아들임이다. 보는 것은 수동적인 것이 아니라, 능동적으로 그것을 받아들이게 되는 것이다. 대상을 바라본 내 몸의 신체적 지각반응을 보여준다. 또한 내가 보고 있는 대상이란 고정되거나 완결된 형체가 아니다. 그것은 시간의 지배 속에서 유동하는 불연속적인 존재이자 가변적이고 모호한 어떤 상태로 남아 있다. 따라서 특정 대상의 진실이나 본 모습이란 것 역시도 시간의 지배를 받는다. 그렇다면 대상의 본래 모습, 참모습이란 사실 부재하다고 말할 수 있다. 따라서 대상을 정확하게 재현하거나 완벽하게 묘사할 수 있다는 믿음은 부정된다. 사진은 외부세계를 재현하지만 사실은 어느 한 시간을 찍는 것이다. 그 시간에 따라 세계의 모습을 계속 바뀌고 지연된다. 사진을 보면서 실재하는 대상, 세계를 연상하고 동일시하지만 사실은 그것은 한 순간, 어느 특정 시간의 편린일 뿐이다. 이처럼 존재하는 모든 것들은 시간의 지배 속에서 변화를 거듭한다. 따라서 시간은 재현의 체계화된 세계를 뒤흔드는 현기증이며, 원본이라는 우상을 파괴하는 엄청난 소용돌이다. 시간은 선험적으로 주어지는 실체가 아니다. 때문에 ‘순간’도 없고 ‘영원’도 없다. 있다면 부단한 ‘차이화’ 즉 차이를 발생시키며 나아가는 시간이 있을 뿐이다. 무수한 시간 속에 잡힌 풍경이 계속 접속되고 분열되듯 나아가면서 원형으로 이어지면서 세계를 보여주는 주도양이 사진은 그런 차이를 드러낸다. 그 차이와 분열은 우리가 보는 대상을 끊임없이 회의하게 한다. 그 모든 익숙함을 흔든다. 생각해보면 미술행위란 당대의 보편적인 시각적 관습을 회의하면서 낯설게 보기, 감각의 교란과 익숙함의 흔들기를 시도해나가는 일에 다름아니지 않은가?

Profile

Academy Background         
  
   2003  Dongguk Univ. Graduate Fine Art M.F.A. 
   2000  Dongguk Univ. Fine Art College B.F.A.
   

The present office  

   Adjunct Professor in Dongguk Univ. & Part-time lecturer at Kookmin Univ.

Solo Exhibition    

   2011 <Oculus> Gallery YEH, Seoul
   2009 <Das Glasperlenspie> ART2021, Seoul
   2009 <IN A Circle> GALLERY DIO, Wonju
   2008 <Vanitascape> Seo Gallery, Seoul
   2007 <Between Fiction & Reality> UM Gallery, Seoul 
   2007 <Between Fiction & Reality> Moosim Gallery, Cheongju    
   2006 <Development Figure> Kumho Museum, Seoul
   2003 <Trace of Time> Kwanhoon Gallery, Seoul
   2002 <LANDSCAPE-X-ray> Seoul Art Center, Seoul

Group Exhibition

   2011 <MANIF 17!11 SEOUL-Special Artist> Seoul Art Center, Seoul
   2011 <Nanji Invitation Exhibition> Art Factory, Paju-Heyri
   2011 <Today's Asian Art> Jeonbuk Museum of Art, Wanju
   2011 <The 26th Asian International Art Exhibition> Seoul Art Center, Seoul
   2011 <Korean Art Today> Korean Cultural Office, Sydney 
   2011 <KIAF 2011-GALLERY YEH> Korea International Art Fair> COEX, Seoul
   2011 <SOAF-GALLERY YEH> COEX, Seoul
   2011 <GOOD TIME> Andong Culture & Art Center, Andong
   2011 <CHRISTIE'S-Asian Contemporary ART May Sale> HongKong Convention Centre, HongKong
   2011 <Gallery Yeon Opening Exhibition> Gallery Yeon, Seoul
   2010 <Baum ART Gallery Invitation Exhibition> Baum ART Gallery, Seoul
   2010 <Jayuro 10th Invitation Exhibition>, Gallery palais de seoul, Seoul
   2010 <Thinking of You> Gallery YEH, Seoul
   2010 <What WE Love> Keumsan Gallery, Seoul
   2010 <CHRISTIE'S-Asian Contemporary ART Nov.Sale> HongKong Convention Centre, HongKong   
   2010 <ART EDITION 2010> BEXCO, Busan
   2010 <KIAF 2010 Korea International Art Fair> COEX, Seoul
   2010 <Art Gwang-Ju 2010> KDJ Convention Center, GwangJu
   2010 <PUBLICART-New Hero Fly in HEYRI> MOA Gallery, Heyri-Paju
   2010 <2010 fnnews art festival> Sejong Art Center, Seoul
   2010 <Emerging Wave> Seoul Art Center, Seoul
   2010 <SOAF-GALLERY YEH> COEX, Seoul
   2010 <Korean Cultural NY> Korean Cultural Service NY, New York
   2010 <SCOPE New York> Lincoln Center Damrosch Park, New York
   2010 <Koran Art Show-NY Chelsea > La Venue Terminal Stores, New York
   2010 <Asia Top Gallery Hotel ART FAIR-GALLERY YEH> Grand Hyatt Hotel, Hong Kong
   2009 <Site of the Life- Janghang wetland> Lotte ART Gallery, Goyang
   2009 <CHRISTIE'S Asian Contemporary Art> HongKong Convention Centre, Hong Kong
   2009 <SIPF 2009 Seoul International Photography Festival> Garden5, Seoul
   2009 <Met First, Yet Familiar> 798 SPACE, Beijing
   2009 <Sense & Sensibility> Gallery CHA, Seoul
   2009 <KIAF 2009 Korea International Art Fair> COEX, Seoul
   2009 <SIPA 2009 Seoul International Print, Photo & Edition Works ART Fair> 
                Seoul ART Center,Seoul
   2009 <9th Song Eun ART Show> INSA Art Center, Seoul
   2009 <ART Road77-with art, with atist> Gallery Hangil, Heyri-Paju 
   2009 <Asia Top Gallery Hotel ART FAIR-GALLERY YEH> Grand Hyatt Hotel, Seoul
   2009 <The Initiative-SEOUL> MUE Gallery, Seoul
   2009 <Space Sense> Lina Gallery, Seoul
   2009 <Beyond Realism> Bon ART Gallery, Seoul
   2009 <Land-Balance> SEO Gallery, Seoul
   2009 <Singing Eye> Guro Arts Valley, Seoul
   2009 <2009 Salon des Arts Seoul> AT Center, Seoul
   2009 <Nature+Suggest> Sungkok museum, Seoul
   2009 <Serotonin> gallery Now, Seoul
   2009 <Multiscape> 315ArtCenter, Seoul
   2009 <Heropia> SEO Gallery, Seoul
   2008 <Daegu Photo Biennale 2008> Daegu Culture & ArtCenter, Daegu
   2008 <SIPA2008 Seoul International Print, Photo & Edition Works Art Fair>
                 Seoul Art Center
   2008 <ART Singapore 2008> Suntec Singapore Hall, Singapore
   2008 <Daegu Photo Biennale 2008> Daegu Culture & Art center, Daegu
   2008 <The Present & Fuyure Exhibition of Korea Contemporary Art> 
                 NINE Gallery, Gwangju
   2008 <Photo Collection No.1> Lina Gallery, Seoul
   2008 <Sumer Art Show1> The White Gallery, Seoul
   2008 <Creative Mind> Savina Museum, Seoul
   2008 <Meta Fiction> Doosan Gallery, Seoul
   2008 <Archetype> Kwanhoon Gallery, Seoul
   2008 <Mindful Garden> Shinsegae  Arthall, Seoul
   2008 The Columns Gallery, Seoul
   2008 <MAY! falling in love> Frog Sam Gallery, Heyri-Paju
   2008 <A Sweet Illusion> Gallery HANGIL, Heyri-Paju
   2008 <Frontier of Korean Photograph> Gallery Now, Seoul
   2008 <The Big & Hip Korean Photography Now> Rho Gallery, Seoul
   2007 <Seo Love> Seo Gallery, Seoul 
   2007 <TCAF2007 Tokyo Contemporary Art Fair> UM Gallery, Tokyo
   2007 <SIPA 2007 Seoul International Print, Photo & Edition Works Art Fair>
                Seoul Art Center, Seoul 
   2007 <KIAF 2007 Korea International Art Fair> COEX-event room, Seoul
              - Finds hidden treasure, Young artists Portfolio Presentation-
   2007 Pixel On Off' Illum Gallery, Seoul
   2007 ArBazaar, Busan
   2007 <Conversation Art & Math> Savina Museum, Seou
   2007 <'Science & Art' Special Exhibition II> National Science Museum, Daejun
   2007 <Sense & Sensibility> GGCF, Gyeonggi Cultural Foundation, Suwon
   2007 <GMA Collection Display> GMA, Gyeonggi Provincial Museum, Ansan
   2001 <Eastern of the Light> Seoul Art Center, Seoul
   2000 Special Exhibition> (Forest of human BeingㆍForest of Painting)
   2000 <PLACEBO>  Gallery Dongguk, Seoul
   2000 <Shoulder of the cross>  Kwanhoon Gallery, Seoul

Public Collection

   National Museum of Contemporary KOREA MOCA, Art Bank KOREA
   Savina Museum, Seoul
   Gyeonggi Provincial Museum, An San
   France Telecom, Paris

주도양(朱道陽) ZU DO YANG 
 

 

 

 

학  력 
   2000년 동국대학교 예술대학 미술학과 서양화전공 졸업
   2003년 동국대학교 대학원 미술학과 서양화전공 졸업

현  직 
   동국대학교 겸임교수, 국민대학교 출강 
     

지원금 수혜 및 레지던시
  2009년 제9회 송은미술대상전 입선, 송은문화재단, 서울 
  2008년도 경기문화재단 우수작품창작발표활동 선정사업
  2007~2008 <난지미술창작스튜디오> 제2기 입주작가, 서울시립미술관

작품 소장처
   국립현대미술관, 미술은행
  사비나 미술관, 서울   
  프랑스 텔레콤, 파리
  경기도 미술관, 안산

주요활동경력
   개인전
   2011년 <Oculus-Oculus - Subverting the Familiar> 예화랑, 서울
   2009년 <유리알 유희> 아트2021 by 예화랑, 서울
   2009년 <In A Circle> GALLERY DIO, 원주 
   2008년 <Vanitascape> 세오갤러리, 서울
   2007년 <Between Fiction & Reality> UM Gallery, 서울
   2007년 <Between Fiction & Reality> 무심갤러리, 청주
   2006년 <Development Figure> 금호미술관, 서울
   2003년 <시간의 궤적전> 관훈갤러리, 서울
   2002년 <LANDSCAPE-X-ray> 예술의 전당, 서울

   단체전 
   2011년 <MANIF 17!11 SEOUL-Special Artist> 예술의전당 한가람미술관, 서울
   2011년 <난지2기 전시초대전>아트팩토리, 파주-헤이리
   2011년 <오늘의 아시아 미술> 전북도립미술관, 전주
   2011년 <제26회 ASIA국제미술전람회> 예술의전당 한가람미술관, 서울
   2011년 <한국국제아트페어 KIAF2009-예화랑> 코엑스, 서울 
   2011년 <SOAF Seoul Open Art Fair-예화랑> 코엑스, 서울
   2011년 <Korean Art Today> 시드니한국문화원, 시드니 
   2011년 <2011년 여름방학기획전 GOOD TIME> 안동예술의전당, 안동
   2011년 <크리스티경매 MAY Sale-아시안컨템포러리아트> 홍콩컨벤션센터, 홍콩
   2011년 <소재의 다양성을 만나다> 갤러리 연, 서울
   2010년 <바움아트 갤러리 자유로 초대전> 바움아트 갤러리, 서울
   2010년 <자유로 10주년 기념 초대전> 팔레드 서울, 서울
   2010년 <Thinking of You> 예화랑, 서울
   2010년 <What WE Love> 금산갤러리, 서울
   2010년 <크리스티경매 November Sale-아시안컨템포러리아트> 홍콩컨벤션센터, 홍콩
   2010년 <아트에디션> 벡스코, 부산
   2010년 <한국국제아트페어 KIAF2010> 코엑스, 서울
   2010년 <아트광주2010> 김대중컨벤션센터, 광주
   2010년 <퍼불릭아트 선정작가전> 모아갤러리, 파주-헤이리
   2010년 <파이낸셜 미술제> 세종문화회관, 서울
   2010년 <이머징 웨이브-한-아세안사진전> 예술의전당, 서울
   2010년 <서울오픈아트페어-예화랑> 코엑스, 서울
   2010년 <뉴욕한국문화원 특별전> 뉴욕한국문화원, 뉴욕
   2010년 <SCOPE New York> 링컨센터, 뉴욕
   2010년 <코리안 아트 쇼-뉴욕첼시> 라비뉴 터미널스토워즈, 뉴욕
   2010년 <아시아 탑 갤러리 호텔아트페어-예화랑> 그랜드 하얏트호텔, 홍콩
   2009년 <생명의 터, 장항습지> 롯데아트갤러리, 고양
   2009년 <크리스티 경매- 아시안컨템포러리아트> 홍콩컨벤션센터, 홍콩
   2009년 <제3회 서울국제사진페스티벌> 가든5, 서울
   2009년 <一面如久> 798 SPACE, 베이징
   2009년 <아트와 테크놀로지와의 만남 얼굴전>, 강남문화재단 외 6자치구 문화공간 순회
   2009년 <Sense & Sensibility> 갤러리 차, 서울
   2009년 <한국국제아트페어 KIAF 2009> 코엑스, 서울
   2009년 <서울국제판화사진아트페어 SIPA 2009> 예술의전당 한가람미술관, 서울
   2009년 <제9회 송은미술대상전> 인사아트센터, 서울
   2009년 <ART Road77-with art, with atist> 갤러리 한길, 헤이리
   2009년 <아시아 탑 갤러리 호텔아트페어-예화랑> 그랜드 하얏트호텔, 서울
   2009년 <The Initiative-SEOUL> 무이갤러리, 서울
   2009년 <공간감각> 리나갤러리, 서울
   2009년 <Beyond Realism> 봉아트갤러리, 서울
   2009년 <Land-Balance> 세오갤러리, 서울
   2009년 <노래하는 눈> 구로문화재단, 서울
   2009년 <2009 서울아트살롱> AT센터, 서울
   2009년 <자연+스러움> 성곡미술관, 서울
   2009년 <세로토닌> 갤러리 나우, 서울
   2009년 <Multiscape> 315아트센터, 마산
   2009년 <히어로피아> 세오갤러리, 서울
   2008년 <서울국제판화사진아트페어 SIPA2008> 예술의 전당 한가람미술관, 서울
   2008년 <싱가폴아트페어2008> Suntec Singapore Hall, 싱가폴
   2008년 <대구사진비엔날레-특별전 공간유영> 대구문화예술회관, 대구 
   2008년 <한국현대미술의 현재와 미래전-광주비엔날레 후원전> 나인갤러리, 광주
   2008년 <포토컬렉션 No.1> 리나갤러리, 서울
   2008년 <섬머아트쇼1> 더 화이트 갤러리, 서울
   2008년 <크리에이티브 마인드> 사비나 미술관, 서울
   2008년 <Meta Fiction> 두산갤러리, 서울
   2008년 <Archetype> 관훈갤러리, 서울
   2008년 <마음의 정원, Mindful Garden> 신세계 아트홀, 서울
   2008년 <자연, 정원 그리고 풍경> 더 컬럼스 갤러리, 서울
   2008년 <5월! folling in love> 청개구리 샘 갤러리, 헤이리 파주
   2008년 <A Sweet Illusion> 갤러리 한길, 헤이리 파주
   2008년 <현대사진의 뉴프론티어> 갤러리 나우, 서울
   2008년 <한국 현대사진 유망작가 16인전 > 노화랑, 서울
   2007년 <Seo Love> 세오갤러리, 서울   
   2007년 <도쿄컨템포러리아트페어 TCAF2007> Toubi Forum, 도쿄)
   2007년 <청소년과 함께하는 미술잔치 즐거운 일상> 어울림미술관, 고양
   2007년 <아트그룹 자유로 기획초대전> 포스코갤러리, 포항
   2007년 <서울국제판화사진아트페어 SIPA2007> 예술의전당 한가람미술관, 서울
   2007년 <이룸갤러리 개관전 2부 픽셀 온 오프> 이룸갤러리, 서울
   2007년 <한국국제아트페어 KIAF2007> - 젊은 신진작가 포트폴리오 공모전 코엑스, 서울
   2007년 <예술과 수학의 교감전> 사비나미술관, 서울
   2007년 <아르바자르 개관기념 초대전> 아르바자르, 부산 
   2007년 <과학예술특별전II> 사비나미술관 기획, 국립중앙과학관 과학예술관, 대전
   2007년 <센스 앤 센서빌리티> 경기문화재단, 수원
   2007년 <2007 신소장품전> 경기도미술관, 안산
   2001년 <동방의 빛> 예술의전당, 서울
   2000년 <광주비엔날레 특별전> ‘인간의 숲·회화의 숲’ 광주비엔날레 야외전시장, 광주

bottom of p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