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of page

임영균 개인전 - ANTARCTICA

2022.08.11-2022.08.27

Information

<전시소개>

임영균의 남극사진

 사진은 예술성에 앞서 기록성을 배제할 수 없다. 예술성이 없어도 기록성만으로도 사진이 성립되는 데는 아무 문제가 없다. 일반적인 회화작업과 다른 점이 여기에 있다. 임영균의 작품은 그것이 인물을 대상으로 한 것이든 풍경을 대상으로 한 것이든 기록성과 더불어 예술성이 두드러진다는 점에서 주목을 끈다. 
 
임영균의 지구 오지 탐험은 벌써 20년으로 거슬러 올라간다. 물론 그의 탐험은 새로운 것의 발견으로서의 그것이 아니라 이미 발견되었음에도 여전히 미답의 경지로 남아있는 시원의 풍경을 찾는 작업이다. 가히 탐험의 영역이다.
 
그의 탐험의 경로는 네팔을 위시한 히말라야 산자락의 원시의 삶의 풍정에서 시베리아, 몽골의 초원지대를 거쳐 남극으로 이어진 것이다. 남극은 다섯 번이나 답사하였고 여기 전시된 작품들은 그 결과물이다.
 
주변의 예술가들이 진지하게 왜 하필 그렇게 멀리 떨어진 남극까지 힘들게 촬영 여행을 하느냐고 질문한다. 바로 이 어려움을 감내하면서 이어진 그의 촬영 여행은 그러기에 다분히 모험적이다. 주변의 예술가들이 묻는 질문에도 모험에 따르는 불안이 잠재된다. 그가 만나는 시원의 풍경은 이 상식적인 불안의 감도를 뛰어넘는 <발견의 경이> 아니 <발견의 희열>에 있음을 이해하지 못하는 것이다.

 “그 순백의 영롱한 남극의 자연의 마력에 이끌려 다시 고통을 감내하고” 그곳에 가게 되는 것도 <발견의 경이> <발견의 희열>에 대한 보답이 아니곤 이해되지 않는다. 

 신비한 자연의 만남이 주는 극적인 순간, 그것은 사진예술에서 흔히 말하는 <순간의 진실>을 훨씬 뛰어넘는 차원이다. 하늘과 바다가 맞닿는 그곳에 등장하는 빙산은 단순한 풍경이 아니다. 이 미답의 풍경은 인간의 그 어떤 제어도 거치지 않은 순수한 존재의 현전이다. 존재이면서 존재 너머의 세계, 지상의 풍경이면서 이미 지상의 풍경이 아닌 시원, 태초의 창조의 숨결이 아직도 남아 있는, 부단히 시작으로 되돌아가는 차원의 풍경이다. 지구환경의 변화라는 전 지구적 관심에도 불구하고 이 풍경은 오롯이 작가 자신의 명상에 답하는 것이고 그러기에 개별적 차원의 것이다. 개별의 진실의 결정이다. 태초의 창조의 순간을 추체험(追體驗)하는, 그래서 자연의 속살을 그 최초의 진실의 순간을 답파하려는 의욕의 결실에 다름아니다. 

 그러기에 우리는 단순히 사진 -어떤 장면-을 보는 것이 아니라 그 장면이 내장한 시각적 충일(充溢)에 전율할 뿐이다. 사진예술이 갖는 매력, 임영균의 탐험이 우리에게 주는 감격의 순간이다. 

오광수 (미술평론가) 
.

Beyond Sublime, Antarctica (Feb 2008 ~ Feb 2011)

  One cannot exclude the ‘recording’ element of photography prior to discussing its ‘artistic’ element. It is not of problem to constitute photography without the element of art if it serves its purpose of recording. It is precisely here where the difference with normal painting lies. The main appeal of Lim Young Kyun’s works is their conspicuous artistic appeal along with its function of recording, whether the works focus on persons or scenery. 

Lim Young Kyun’s exploration of the remote, far flung areas of the Earth already traces back to 20 years from now. His exploration is, of course, not the discovery of new things but the discovery of the scenery of inception that has been discovered yet has not been appreciated in its fullest form. In this sense, his exploration does, in fact, belong to a realm of exploration. 

The route of his expedition began in the edge of the primitive life in Himalaya and its scenery to Siberia and the pasture of Mongolia to the Antarctica. He explored the Antarctica five times and the present exhibit manifests the essence of such expeditions. 

Fellow artists inquire his ordeal in all seriousness – why would he expedite the Antarctica that is so distant and so harsh? Such an ordeal is what makes his photography journey enormously adventurous. The questions that the fellow artists make imply such anxiety that ensues the adventure. They unfortunately overlook the awe – better yet, the exaltation – of the discovery of the scenery of inception that reaches far beyond the scope of this commonsensical anxiety.

To return to the Antarctica “notwithstanding the pain and suffering that ensue its expedition, drawn to it by the pure white, majestic power of the nature” cannot be understood unless as a reward for the awe or the exaltation of the discovery. The dramatic moment that the encounter with the mysterious nature endows is a dimension that extends beyond “the truth of the moment” that photography art usually speaks of. The iceberg that appears at the place where the sky and the ocean meets is not mere scenery. This untrodden scenery is the presence of the pure existence uncontrolled and uninhabited by human influence. It is the scenery of the dimension that seeks to go back to the origin of the world; existence but beyond existing, landscape but also an inception that does not exist as landscape any longer; and where the breath of the creation of the world still lies. Despite the abundance of sustained global attention to environmental change and preservation, this scenery belongs to the artist and is an answer to his meditation, and therefore belongs to a different ontological realm. It is the crystal of individual truth. It would not be wrong to call it a fruition of desire to explore the very first moment of the truth, the naked flesh of nature, to nacheleben (roughly translates to represent, relive or reenact) the moment of the creation of this world.

Therefore, we do not merely at a “scene” or a photography, but tremble at the inherent visual abundance that the scene possesses. The appeal of photography art, it is the moment of appreciation that Lim Young Kyun’s exploration gives us. 

Kwang soo Oh (Art Critic)
 

숭고함을 넘어선 자연, 남극. [2008년 2월–2011년 2월]

 

  1911년 12월 14일 아문센이 처음 남극점을 도달한 이래로, 100년이 지난 지금 세계는 좁아졌다. 이제 21세기에 남극 여행은 고급 관광여행이 되다시피 되었다. 
그러나 경제적인 여유와 약 2주간의 시간이 있어도 제일 힘든 점은 남극대륙에 도달하려면, 파도가 사납기로 제일 악명이 높은 [영국 해적이며 나중에 엘리자베스 1세에 의해 해군 제독이 되어 나폴레옹을 물리친] 프랜시스 드레이크의 이름을 딴 해협을 48시간 동안 항해해야 한다. 뱃멀미에는 장사가 없다. 아무리 체력이 좋은 사람도 속수 무책이다. 한 번은 근육질의 독일 건축가와 캐빈을 같이 사용했는데 그는 48시간 동안 한 번도 식사를 못하고 침대를 벗어나지 못했었다.
  나는 2008년 1월부터 방문교수로 뉴욕에 있었다. 어느 날 제목만 주로 보던 뉴욕타임스 1면에 남극을 가던 탐험호가 이상기후로 바다가 결빙되면서 얼음 위에 좌초된 사진과, 다행히 헬리콥터로 승객 모두가 긴급 구조되었다는 기사를 보았었다.
  호기심이 발동했다. 나는 사진가다. 이상 기후로 빙하가 녹아내리는 것을 내 눈으로, 내 카메라 렌즈로 확인하고 싶었었다. 그로부터 한 달 후 구정이 지난 다음 날인 2월 9일 토요일부터 10일간 아르헨티나 남쪽 끝 도시 우수아이아 항구에서 출항할 수 있었다. 탐험선은 아르헨티나 선적으로 70여 명을 승선할 수 있는 소형 쇄빙선[Icebreker]으로 내가 배정받은 캐빈은 창문이 없는 선창 아래 조타실 옆으로 24시간 진동과 소음으로 잠을 잘 수 없었다.
  승선하면 제일 처음 받는 교육이 안전 교육이다. 만일의 경우 배가 좌초되면 비상 신호를 받고 고무보트로 승선하는 법 등을 익혀 나간다. 그러고는 남극의 자연 조류 식물 기후변화에 관한 학자들의 강의를 듣는다.
  나는 2008년 1차 항해 일지는 다음과 같다.

2월 9일. 우수아이아[Ushuaia] 12시에 승선하여 오후 17시 출항.
2월 10일. 저녁이 되면서 드레이크[Francis Drake] 해협 진입.
2월 11일. 새벽에 파도가 잔잔해지면서 아이스 버거 목격.
2월 12일 오후 Half Moon Island, Deception Island 입도.
2월 13일. Cuperville Island. 19세기 포경기지 관찰.
2월 14일. Paradise Barbor Zodiac. 소형 고무보트로 해안 촬영.
2월 15일. No Zodiac. 일기 변화로 선실에서만 영화 관람. 뱃머리를 우수아이아로 돌아감.
2월 16일. 선실에서만 생활. 독서. 오후 우수아이아행.
2월 17일. 17시에 우수아이아 도착.
2월 18일. 아침 9시. 도선사와 세관원의 검열이 있은 후에 하선. 

  2008년 2월 7일 오후 뉴욕을 떠난 지 3박 4일이 되는 11일 새벽녘에 생전 처음 남극반도 사우스 셀트 아일랜드 근처에서 바다 위에 떠 있는 환상적인 아이스 버거를 바라볼 수 있었다.
남극 대륙으로 가려면 남아메리카의 파리라 불리는 매력적인 도시이며 초현실 문학의 창시자 보르헤스의 고향 부에노스아이레스를 반드시 거쳐야 한다. 거기에서 다시 남미의 최남단 항구 우수아이아로 가는 비행기를 타고 우수아이아에서 탐험선을 승선해야 된다. 그곳에서 48시간 동안 항해를 시작하면 1859년 ‘종의 기원’을 발표한 찰스 다윈이 1830년대에 방문하고 유명한 비글호의 항해기에 나오는 비글해협을 지나야 한다. 특히 드레이크 해협은 태평양과 대서양의 드넓은 바다가 좁은 해협에서 만나는 병목 현상으로 파도가 거칠기로 유명하다. 마치 인류의 마지막 남은 자연의 속살을 보여 주기 싫어하는 것처럼 사람의 손길을 거부하는 듯하다. 

  모든 승객은 드레이크 해협을 지나가기 전, 안내방송을 듣고 뱃멀미 약을 미리 먹는다. 아무리 뱃멀미 약을 먹어도 자연의 심술에는 어쩔 수 없어, 배가 심하게 요동을 쳐서 그 다음날 아침 식사시간에는 식당이 텅 비어있다. 이렇게 오랜 시간을 거쳐 아름다운 남극 연안을 항해할 수는 있어도 촬영을 위한 고무보트인 조디악 승선은 오직 안전을 책임지는 선장의 명령이 없이는 승선이 불가능하다. 어렵게 승선 허가를 받아서 고무보트로 연안 승선을 나가면 고요한 바다의 빙하에서 떨어지는 물방울 소리가 아름다운 음악처럼 영롱하기 짝이 없다. 하늘이 맑은 날이면 하늘에 새는 보이지 않는데, 아름다운 새소리가 천사의 목소리처럼 하늘에서 노래를 하고 있다. 그래서 그런지 그 해안의 이름도 파라다이스 해안[Paradise harbor] 이었다. 이렇게 승선 기간은 10-11일이지만 드레이크 해협을 지나는 4일을 제외하고 바람이 심하지 않고 승선하기 안전한 날은 2-3일 중에서도 불과 몇 시간이다. 이렇게 천상 같은 시간을 짧게 보내고 떠날 때는 항상 아쉬움이 가득 찬다. 막대한 비용과 시간을 투자하여 처음으로 남극 촬영을 마치고 돌아갈 때, 기대에 가득 차서 올 때와는 달리 너무나 허망하여 밤바다의 거친 파도 소리로 마음을 달랬다. 이렇게 이제는 다시 오지 않겠다고 다짐을 하지만 시간이 조금만 지나도 영롱한 남극 자연의 매력에 이끌려 다시 오게 된다. 그렇게 2008년 2월, 2008년 12월, 2010년 1월, 2011년 2월, 네 차례 남극을 다녀왔다.
  내가 그동안 촬영한 얼음조각과 남극 연안 풍경을 보면, 자연은 분명 위대한 예술가라고 생각한다. 아름다운 대자연 앞에서 숭고함을 느낄 때 인간은 왜소함을 느끼며 겸손하지 않을 수 없다. 지구상에 유일하게 남은 청정지역을 잘 보존하라고.
남극 촬영에 있었던 에피소드 두 가지를 소개하면, 처음 남극을 가던 2008년만 해도 디지털 사진이 고성능이 되기 전이라, 고화질의 사진을 원하면 필름을 사용하는 중형이나 대형 카메라를 사용하던 시절이었다. 처음으로 남극을 가기 전에 나는 많은 서적 자료와 영상을 보면서 준비를 하고 촬영할 영상을 상상으로 드로잉 해 보기도 했다. 나는 반드시 드로잉을 하면 처음 가본 곳이라도 그런 장소가 반드시 나타나 촬영한 경험이 여러 번 있다. 그렇게 어렵게 남극 여행을 했지만 몇 번의 조디악 촬영으로 남극 촬영 여행은 허무하게 끝나고 뉴욕으로 돌아오게 되었다. 2월 중순 추운 뉴욕 겨울 새벽, 공항으로 마중 나온 아내는 좋은 사진 찍었어요? 하며 인사를 건넸지만, 나는 필름으로 촬영한 사진을 아직 내용을 확인도 할 수 없었고, 촬영의 아쉬움이 그때까지도 머리에 가득 차서, 나도 모르게 영 못 찍었다고 말하여 아내에게 실망감을 안겨 주었다. 
  한 해는 항해 중 크리스마스이브가 겹친 날 북유럽의 젊은이가 전통 복장으로 바이올린을 갖고 나타나 뱃머리에서 ‘구노의 아베마리아’를 연주했다. 어디에서도 보이지 않았던 망망대해에서 갈매기들이 연주자 머리 위를 월계관처럼 맴돌고 있었다. 아름다운 선율의 반응에는 사람과 갈매기가 똑같았었다. 그 이후 남극의 매력에 이끌려 세 차례나 다시 갔지만 첫 번째만큼 원하는 사진을 많이 촬영한 적이 없었다. 2010년에 1월 23일에 간 3차 남극 여행에서는 멀리서 만 유빙을 구경했을 뿐, 우리가 타고 간 탐험 배가 이상 기후로 얼음에 갇혀서 고생만 하다가 코스를 돌려서 돌아올 수밖에 없었다. 아마도 2008년 처음 승선 한 배가 소형이라서 고생은 되었지만 좀 더 남극 깊숙이 갈 수 있었으리라.
  아직도 숭고한 남극의 자연을 잊을 수가 없다. 그래서 그런지 더 아련하고 아쉽다. 수년 전에는 탐험선을 한 척 빌려서 우리가 원하는 코스대로 촬영을 한다고 계획을 세웠지만 계획으로 그쳤다. 그래서 더 아쉬움이 남는다.

2022년 7월 4일. 서울 임영균.

Beyond Sublime, Antarctica (Feb 2008 ~ Feb 2011)

 

   Ever since Roald Amundsen set his foot in the South Pole in December 14th 1911, the world became a much smaller place after a hundred years. A journey to Antarctica has become somewhat of a luxury trip. 
   However, even with financial and temporal affordability, one must sail through the channel named after Francis Drake (a pirate who was knighted and appointed as a vice admiral of the British navy), which has a notoriety of having fierce waves, for 48 hours. Sea sickness knows no bounds: however healthy or fit you are, sea sickness will eventually get to you. One time I shared a cabin with a muscular German architect, who could neither get out of bed for 48 hours nor eat anything. 
  I was in New York as a visiting professor in January 2008. One day, I read on the first page of The New York Times that an exploration ship to the Antarctica was shipwrecked on sea ice due to the climate change. On the page was a photograph of the cruise ship and news about how passengers were saved by a helicopter. 
  The news aroused curiosity in me. I am a photographer. I wanted to see the iceberg melting due to climate change with my naked eyes and through the lens of my camera. After about a month, more precisely a day after Korean New Years in 9th February, Saturday, I could sail off from Ushuaia port at the southern end of Argentina. The exploration ship was a small icebreaker that has a capacity of 70 passengers, and the cabin I was assigned to had no window and was located beneath the dock and right next to the wheelhouse. I could barely sleep because of the oscillation and noise 24/7. 
  The first instruction we receive once we get on board is safety instruction. We learn how to receive emergency signals and how to get on the inflatable boat, etc. in case of a shipwreck. What follows is a lecture on climate change and various ecological and natural properties of Antarctica by some experts. 
  My voyage log on the first expedition in 2008 is as follows:
9 Feb. Got on board at Ushuaia at noon and set sailed at 1700.
10 Feb. Entered Sir Francis Drake Channel around the evening
11 Feb. Started to see icebergs at dawn as the crashing waves died down
12 Feb. Entered Half Moon Island and Deception Island around the afternoon
13 Feb. Cuperville Island, observed a 19th century whaling station
14 Feb. Paradise Harbor Zodiac, went for a coastal photography shooting on an inflatable boat
15 Feb. No Zodiac, watched some movies in the cabin due to a sudden change of the weather. Turned our prow back to Ushuaia. 
16 Feb. Spent most of the time reading in the cabin. Set sailed to Ushuaia in the afternoon
17 Feb. Arrived at Ushuaia at 1700.
18 Feb. Off board at 900 after customs and pilot clearance. 

  At dawn on the 11th, after 4 days since my departure from New York, I could see the fantastic scene of an iceberg floating on the ocean near the South Shetlands Islands. One must go through Buenos Aires, the Paris of South America and a home of Borges, a pioneer of magic realism in order to get to the Antarctica. One then journeys to Ushuaia on a plane, and get on an exploration ship there. Once you start sailing for 48 hours, you go through the Beagle Channel where Charles Darwin visited in 1830s (he published The Origin of the Species in 1859), known also as the Beagle Voyage. 
Sir Francis Drake Channel, in particular, is known for its rough waves due to the bottleneck caused by the Pacific Ocean and the Atlantic Ocean merging in a small canal. The channel seems as though it denies human touch, as if to hide the last untouched nature from us. 
  All passengers are told to take an antinauseant before passing through Drake Channel. However, no matter how many antinauseants you take, the nature eventually gets to us and the ship making it oscillate badly, emptying the canteen the next morning. One may sail through the beautiful coast of the Antarctica as such, but to get on Zodiac (the small inflatable boat for photography) one must get an approval from the captain. As you get the permit and leave to the shore on the Zodiac, the sound of the water dropping from the iceberg is as sonorous as the most beautiful music. On a clear day, you can hear birds singing with the voice of an angel on the sky. That is probably why the harbor was named Paradise. So, out of 11 days of the journey, only a couple hours out of 2 or 3 days can you go on a Zodiac. You always look back in remembrance after a couple of hours of paradise. My first expedition to Antarctica was full of remembrance and nihilism – all the resource and effort for the tour seemed evanescent and nihilistic around the time our ship sailed back to Ushuaia. I had to sink in my sorrow listening to the crashing waves at night. You may vow not to return, but you are bound to return for its majestic nature. That is how I went to the Antarctica four times, in February and December 2008, January 2010 and February 2011.
  Looking at my photographs of sea ice and the sights of Antarctica, I cannot help but to think nature as one great artist. At the face of the sublimity of nature, we are reduced to its mere belongings and are forced humility. Such sublimity of nature commands us to preserve the last untouched place on earth as it is. 
  To briefly introduce two episodes during my shootings, in 2008 when I went to the Antarctica for the first time, the digital photography was crude and photographers had to use mid or big sized camera if they wanted to take high resolution photographs. Before my first expedition, I perused through multiple literature and video footages preparing for the shooting and drawing, out of imagination, the scenes and footages that I would take. I have some experience with imaginary drawing where the imaginary place is somehow miraculously realized even at the places that I have not been before. I came back to New York after only a couple of hours on the Zodiac after such an ordeal at the Antarctica; my wife who came to pick me up at the airport asked me whether I took good photographs while I was there. Since I could not check the films and I was so devastated by the remorseful emotion that the Antarctica had left me, I unconsciously said no which left my wife disappointed. 
  One year during the sailing, a young man from Northern Europe brought a violin in their traditional outfit playing Gunoud’s Ave Maria. A group of seagulls appeared out of nowhere and circled above the player like a laurel wreath. The beauty of the sonorous melody seemed to know no bounds as to who listens. Ever since I went back to Antarctica three more times, but never had I taken more photographs that catered to my liking than my first visit. Particularly in January 2010, my third visit, our ship was stuck in the sea ice due to climate  change, resulting in a remote observation of some drift ice before we came back on a different route. Perhaps the small ship that took me to Antarctica for the first time got me some hard time due to its size, but the very small size of it was how we could get to the deeper part of Antarctica, in retrospect. 
  I can still see the sublimity of Antarctica when I close my eyes. That is the source of my regret and remembrance. Several years ago, I planned on yet another exploration which involved a renting of an exploration ship and shooting on our pre-established, pre-fabricated route; but it could not come to fruition yet. Perhaps that is why my remembrance intensifies. 
                                                                                                                                                                      4th July 2022, Lim Young Kyun, Seoul.  

 

Artist: Youngkyun Lim

Date : Aug. 11th (Thu), 2022 -  Aug. 27th (Sat), 2022

Opening Reception:  Aug. 14th(Thu) 17:00~ 20:00 

Venue : GALLERY YEH l 73 Garosu-gil, Gangnam-gu, Seoul, Korea

​작가: 임영균

​전시기간 : 2022. 8. 11(목) ~ 2022. 8. 27 (토) 

​오프닝 행사 : 2022. 08. 11(목) 오후 5시 ~ 오후 8시

bottom of p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