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of page

​美妙: nuance

2024.06.22-07.20

Information

<전시소개>

미묘, 지각과 인식이 미끄러지는 틈새

 

황인(미술평론가)

  화가 박현주, 윤종주 그리고 조각가 이환권의 ‘미묘’ 삼인전이 열린다. 

 

  간이 사물을 판단하고 느끼는 데에는 인식의 영역과 지각의 영역이 있다. 이 둘은 연결되면서도 독립적이다, 일상적인 삶에서는 대체로 인식과 지각이 일치하는 편이다. 가끔 인식과 지각이 살짝 일치하지 않는 상태가 발생할 때가 있다. 지각이 포착한 사물이나 사태를 인식이 잡아주지 못하고 미끄러지는 상태, 그리하여 필경 애초의 지각에 대한 신뢰에 약간의 흔들림이 일어나거나 틈이 벌어지는 경우, 이를 우리는 ‘미묘’라 한다. 미묘는 우리를 새롭고 낯선 미적 경험으로 이끈다. 

  현주는 빛에 매진해온 작가다. 오랫동안 금박작업을 응용한 페인팅을 해왔다. 오늘날처럼 화이트 큐브로 대표되는 밝고 환한 전시공간의 미술작품과는 달리, 빛이 귀했던 시절의 공간, 예컨대 조명이 거의 없는 고대 건물의 어두컴컴한 공간에서 감상해야만 하는 미술작품은 빛을 최대한 효율적으로 반사시킬 수 있어야만 했다. 방과 방 사이의 칸막이인 맹장지에 그려진 그림, 이른바 후스마에(襖絵)가 대표적이다. 이때 사용되는 재료로 금박 또는 은박이 동원된다. 
물론 박현주의 금박작업은 단순히 빛의 효율적인 반사에 방점을 둔 것은 아니었다. 금박에 반사된 빛은 모노크롬의 단일파장을 지닌다. 세상의 온갖 다양한 파장의 빛이 하나의 파장으로 환원되어 반사된다. 도상 또한 기하학적인 형태로 환원적인 형태를 띠면서 박현주의 작품세계 전체가 환원적인 프로세스를 강조했다. 금박을 통한 환원주의의 완성, 이게 박현주의 미학이었을 게다. 
최근 박현주는 색채를 적극적으로 사용하기 시작했다. 색채에 동원되는 물감은 그 자체로 물성을 지닌다. 박현주가 즐겨 사용하는 안료는 제품으로 나오는 물감보다 물성이 훨씬 더 강하다. 곱게 갈아진 안료의 결정 하나하나가 각기 서로 다른 각도와 파장으로 굴절된 빛을 반사한다. 반사된 빛들은 서로 간섭하면서 매우 다양하고 화려한 빛깔의 집합을 이룬다. 그 빛깔들은 확연하게 색상이 서로 구별되는 폴리크롬의 집합을 이루기도 하고 비슷한 색상끼리 모여서 폴리크롬의 계열화를 이루면서 모노크롬에 가깝게 보이기도 한다. 
폴리크롬의 색층은 겹겹이 올라가면서 화면은 점점 더 밝아진다. 캔버스의 바탕엔 검정에 가까운 어두운 색상을 배치했다. 금박작업에서는 어둠이 캔버스의 최상층 금박의 표면 위와 방 안에 존재하고 있었다면 최근의 작업에서는 어둠이 캔버스의 색층 맨바닥에 숨겨져 있는 셈이다. 어둠을 섞은 밝은 빛, 밝은 빛을 품은 어둠의 공간, 박현주의 ‘미묘’함이 여기에 있다. 

  종주의 작품에서 주안점은 색면과 색면의 가장자리에 있는 색띠다. 색면은 균질성을 유지하기 위해 매우 섬세한 작업 프로세스를 거쳤다. 그 과정이 너무나 엄격하고 결과 또한 섬세하여 색면은 편평하게 무한대 공간으로 뻗어나갈 듯한 기세다. 무한으로 뻗어나갈 수 있는 색면이란 기하학적인 개념 위에서만 존재가능한 평면뿐이다. 바닥에 편평하게 놓여진 캔버스 위에 아크릴릭 물감의 층이 한 켜씩 쌓일 때마다 물감이 캔버스의 가장자리 모서리를 지나 흘러내리는 데 이를 닦아주는 과정에서 더 밝은 빛깔의 색띠가 형성된다. 
색면의 가장자리에 밝은 색띠가 등장하면서 무한을 향했던 색면의 평면은 깊이를 가진 표면으로 가두어진다. 평면이 표면으로 바뀌는 순간이다. 표면은 덩어리의 일부를 이루는 한 층이다. 실재하는 모든 것은 크든 작든 덩어리를 가진다. 색띠 테두리는 평면이란 개념을 표면이란 실재로 바꾸어주는 역할을 한다. 필경 윤종주의 평면작업은 표면을 거쳐 색채를 가진 얇은 오브제라는 느낌으로 이어진다. 
평면과 표면을 구별짓게 하는 것은 중력의 작용 여부다. 중력에 독립적이면 평면이 되고 중력에 종속적이면 표면이 된다. 평면이 공간의 공백성(blankness) 혹은 균질공간에 속한다면 표면은 공간의 적재성(loadedness) 혹은 장소 그 자체에 속한다고 할 수가 있다. 윤종주의 작품에서 가장자리 모서리의 밝은 색띠는 평면에서 표면으로, 공백에서 적재로, 공간에서 장소로 미끄러지는 ‘미묘’한 지점으로 불러야 할 것이다.

  환권의 조각에는 회화를 방불케 하는 요소들이 많이 숨어 있다. 고전적인 회화에는 관람자의 두 눈과 작품, 그리고 작품 뒤 무한대 거리에 놓인 소실점을 잇는 하나의 직선, 이른바 단일시점이 성립한다. 이와는 달리 조각은 여러 각도에서 작품을 볼 수 있는 다시점이 허용된다. 
이환권의 조각은 극단적으로 납작하게 짜부라져 있다. 그의 작업은 입체에서 평면으로 변환해 가는 중간쯤에 놓여있다. 이환권의 작품 앞에 선 감상자의 눈, 혹은 신체가 좌우로 시점을 달리하며 변화할 때 신체의 감각이 예상하는 작품의 각도 변화에 비해 실제로 작품에서 지각되는 각도의 변화가 훨씬 더 급격하다. 
그 급격함은 일반적인 조각에 비해 다시점의 운용 범위를 매우 제한적으로 묶어둔다. 시점이 제한적일수록 조각은 점점 회화에 가까워진다. 어떤 작품(이 경우 짜부라지지 않은 조각들도 있다)에는 회화에서나 다루는 그림자를 조각의 영역으로 끌어들인 것도 있다.
신체가 습관적으로 예상하는 감각은 인식에 가깝다. 아는 것을 본다, 혹은 아는 것이 보는 것이다(Believing is seeing 메리 앤 스타니스제프스키)라 함은 인식이 지각을 지배한다는 주장에 다름 아니다. 그러나 이환권의 짜부라진 작품 앞에서 이 주장은 무력해진다. 아는 것(인식)과 보는 것(지각)을 더 이상 지배하지 못하고 이 둘 사이에 균열이 발생한다. 그 균열 속에서 ‘미묘’함이 부풀어 오른다. 그 균열이 너무나 심대하기에 그의 조각은 ‘미묘’를 넘어 돌발적이거나 마술적이기까지 하다. 
대개의 조각은 매스 혹은 공간을 추구한다. 이환권 조각의 돌발성은 매스도 공간도 아닌 사건성에 더 가깝다. 곧게 뻗어가는 시간의 흐름에 급격하게 변화하는 지각의 각도를 부여한다. 그리고 마술적인 사건성을 부른다. 그의 조각은 상습적인 인식의 단단함을 무력화시킨 다음 낯선 지각의 세계로 우리를 이끌고 있다. 어색하나 재미있는 지각의 세계다.

Subtlety, the Crevice into which Perception and Recognition Slip

Hwang In (Art Critic)

  Gallery Yeh presents a special exhibition for the painters Park Hyun Joo, Yoon Jong Ju, and sculptor Lee Hwan Kwon, titled Subtlety. 

  There are two realms, the realm of perception and the realm of recognition, for us to judge and feel an object. These two realms are simultaneously dependent and independent, that is to say, perception and recognition are usually identical in everyday life. At times, a phenomenon occurs in which perception and recognition depart from one another. A state where an object or a circumstance that perception captures slips away in the realm of recognition and subsequently creates a crevice between them and causes mistrust for recognition, we call this ‘subtlety’. Subtlety leads us to a new, unfamiliar aesthetic experience.

  Park Hyun Joo is an artist immersed in light. She has been working on a painting with gold leaf for a long time. Unlike the artworks that shine in the bright and white exhibition space represented by the White Cube, the works placed in the space devoid of light – for instance, works that must be looked at in a dark room in an old building with minimal lighting – had to reflect the light in its maximum capacity. Fusuma painting (襖絵/ふすまえ), a painting drawn on the paper partition between the rooms in traditional Japanese houses, is a prime example. Gold or silver leaf was employed as the main material.


   Indeed, Park’s gold leaf works do not constrain its functionality to the mere reflection of light. The light reflected on the gold leaf has a monochrome, single wavelength. In its reflection, all the wavelengths of the light are reduced to one single, powerful wavelength. The images, too, take a reductive, geometric form that her artistic world altogether comes to emphasize the reductionist process. The completion of reductionism through the use of gold leaf, perhaps, was her aesthetics. 


   Recently, Park has been more proactively using colors. The paint employed in the palette has materiality in and of itself. The traditional ground pigment that Park uses has a much stronger materiality than the common, manufactured oil painting color. The fragments of the ground pigment reflect the refracted light in different angles and wavelengths. These lights intersect and interfere with each other and create an aggregate with various and flashy colors. Then these colors concurrently create a polychrome set and a monochrome set comprising multiple polychromic sets that eventually look alike. 


   The accumulation of the polychromic layers makes the canvas increasingly brighter. Park deliberately employs dark colors in the background of her canvas. If in her gold leaf works, darkness was placed at the surface of the outermost layer of gold leaf and within the exhibition space, the recent works hide darkness at the innermost layer, in the background of the canvas. Park’s subtlety lies precisely in this point – in the bright light that contains darkness and in the dark space that embraces the bright light.

 

  The focalization in Yoon Jong Ju’s works is the color band at the margin between the color fields. The color fields go through an extremely delicate process to ensure homogeneity. The rigidity and rigor of the process and its delicate outcome let the color field to flatly extend beyond infinity. An infinite extension for the color field can only be permitted on a canvas, existing only in the world of geometry. On the canvas lying flat on the floor, layers of acrylic paints are stacked, during which the paint flows off at the margin of the canvas. Wiping these margins will allow the color field to have a brighter, more iridescent band of colors.


   With the emergence of this bright color band, the two-dimensional color field that once aimed at stretching out to infinity is contained as a surface with depth. This is the moment where the plane becomes a surface, which should be understood as one of the layers that compose a bigger mass. Any real thing has a mass regardless of its size. The color band in the margin serves the purpose of transitioning the concept of the plane to the reality of the surface. This leads Yoon’s two-dimensional works to be recognized as a surface and eventually as thin objets with colors.


   It is the gravitational force that distinguishes the plane and the surface. Independent of the gravity, the subject becomes two-dimensional; dependent, it becomes a surface. If the plane pertains to the blankness or universal space, the surface can be said to pertain to the loadedness or the place itself. The bright color band at the margin of Yoon’s works should be labeled a ‘subtle’ point that slips from plane to surface, from blankness to loadedness, and from space to place.

 

  We find strong elements of painting in Yi Hwan Kwon’s sculptures. In classical painting, there is a single line that connects the viewer, the artwork, and a vanishing point placed on the infinite distance that extends beyond the artwork, the so-called ‘single perspective’. Unlike the painting, sculpture allows multiple perspectives to examine the work.


   Yi Hwan Kwon’s sculptures are extremely compressed. His works can be said to have been placed in the middle of the transition from three-dimension to two-dimension. When the viewer standing in front of Yi’s sculptures shifts their perspective from left to right, the actual change in the angle perceived in the work is much more acute than the change that the body’s senses expect. 


   This acuteness puts a tight constraint on the range of the multiple perspectives commonly exhibited in general sculptural works. The more limitations we find, the more resemblance the sculpture has to the painting. Some sculptures (in these cases, there are works that are not really compressed) even bring shadow into the sculptural realm, an object commonly employed in paintings.


   The sense that the body habitually anticipates is closer to being a perception. Mary Anne Staniszewski’s quote “Believing is seeing” is no different from a claim that recognition governs perception. However, upon Yi Hwan Kwon’s compressed works, such a statement loses all its power. Knowing (recognition) can no longer dominate seeing (perception), and a crevice occurs between these two. It is from this crevice that ‘subtlety’ rises. The crevice is so profound that his sculptures transcend ‘subtlety’ and become staggering and even magical. 


   Most sculptures pursue mass or spatiality. Yi Hwan Kwon’s sculptures, however, pursue neither but ‘incidence’. They imbue angles to acutely changing perceptions amidst the linearly extending temporality and call upon us magical incidences. His sculptures disarm our habitual perception and lead us to the world of unfamiliar recognition. It is an awkward yet scintillating world of perception.

 

Artist: Hyunjoo Park, Jongju Yoon, Hwankwon Yi

Date : Jun. 22nd (Sat.), 2024 -  Jul. 20th (Sat.), 2024

Opening Reception:  Jun. 22nd(Sat.) 15:00~ 19:00 

Venue : GALLERY YEH l 73 Garosu-gil, Gangnam-gu, Seoul, Korea

​작가: 박현주, 윤종주, 이환권

​전시기간 : 2024.06.22.(토) ~ 2024. 07.20 (토) 

​오프닝 행사 : 2024.06.22.(토) 오후 3시 ~ 오후 7시

bottom of page